산행기,트레킹 903

♣ 테마(섬) 산행:전남 여수 " 거문도(불탄봉)+백도(유람선 관광) " (10/03~10/04:1박 2일):1일次

- 오늘은 테마(섬) 산행으로 전남 여수의 "거문도+백도" 산행 및 관광을 다녀 와서 그 발자취를 남겨 본다.... ♣ "거문도" 는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서도,동도,고도" 의 3개의 섬으로 형성 되어 '삼도(三島)'라 부르다가 1885~1887년에 영국 해군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을 당시 청국수..

산행기,트레킹 2014.10.05

♣ 근교 산행:경북 청도군 일원 "용둔봉+옹강산+소진봉+마산" (2014.10.01:수)

♣ "옹강산(831m)" 은 영남알프스 산군에 속하지 않는 단산이면서도 영남알프스 산군의 가운데 끼여 있으며 산꾼의 발길이 전혀 닿지 않아 지금도 원시의 깨끗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옹강산은 그런만큼 산길이 험하고 군데군데 산길이 끊어지는 등 산행자를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 산행일시 : 2014. 10. 01 (수) : 회사 임단협 총회/휴무일 (산매니아 형님하고 둘이서 산행)  ☞ 산행지 : 경북 청도군 " 용둔봉(641m) + 옹강산(831m) + 소진봉(379m) + 마산(240m)  "  ☞ 산행코스 : 에델바이스 펜션 - 용문봉 - 옹강산 - BACK - 용둔봉 - 소진봉 - 마산 - 신원 삼거리 - 국도                       - 에델바이스 펜션 (원점 회귀)..

산행기,트레킹 2014.10.01

♣ 명산 순례 산행:전남 영광군 일원 " 불갑산/연실봉 " (2014.09.27:토)

♣ "불갑산/연실봉(515m)" 은  전남 영광과 함평의 경계를 이루며 백제 불교 도래지로 이름난 불갑사를 품고 있는 산이다. 높이는 516m이고, 주봉은 연실봉이다. 원래는 아늑한 산의 형상이 어머니와 같아서 "산들의 어머니"라는 뜻으로 모악산이라고 불렀는데, 백제시대에 불교의 "불(佛)"자와 육십갑자의 으뜸인 "갑(甲)"자를 딴 불갑사가 지어지면서 산이름도 불갑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숲이 울창하고 산세가 아늑하며, 참식나무와 상사초 같은 희귀식물들이 자생군락을 이루고 있다. 노령산맥의 서남쪽 끝자락에 솟아 있는 영광 불갑산은 산림이 울창하고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꽃무릇/상사화" 는 수선화과 상사화속의 다년초. 석산, 붉은상사화 등으로도 불린다. 비늘줄기의 한약명이 석산(石..

산행기,트레킹 2014.09.28

♣ 명산 순례:충북 괴산군 일원 " 사랑산+용추폭포 " (2014.09.20:토)

♣ "사랑산(靈鷲山·:647m)" 은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지형도에는 이름이 없는 무명봉이다. 다만 정상 북쪽의 사기막리로 흘러내리는 계곡이 제당골이라 제당산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그런데 1999년에 사기막리에서 서쪽으로 흘러내리는 용추골의 용추폭포 인근에서 '사랑나무'로 불리는 연리목이 발견됐고 괴산군청은 이를 계기로 사랑산으로 이름을 바꿨다. 그 덕분에 군자산이나 대야산, 덕가산, 악휘봉 등 명산들에 가려 있던 산이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치게 됐다. 요즘은 살다가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개명하는 일이 흔하다. 그런데 산도 개명을 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산이 하는 게 아니라 사람이 하는 것이지만. 충북 괴산군의 사랑산(647m)이 그런 곳이다. 사랑산처럼 산에서 발견된 나무 한 그루가 이름을 바꾸는 ..

산행기,트레킹 2014.09.20

♣ 테마(섬) 산행:경남 마산시 일원 "저도 비치 로드길/용두산" (2014.09.14:일)

♣ "저도" 는 창원시 합포구 구산면의 22개 마을 중에 하나로 지형이 마치 돼지가 누워 있는 것 같은 형국인 '돝' 자를 써서 이름 하였다. 연호 부락이라고도 한다. 이 섬에는 꽤 오랜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걱 같다. 그것을 가야 시대의 유물인 듯 밭을 갈다가 토기 조각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임진왜란때 왜적의 도륙이 두려워 묻어 두고 피난 갔다가 다시 오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된다. 약 60년 전부터 자체적으로 나룻배를 운용 했으나 연륙교가 1987년 가설과 함께 없어 졌으며 신 연륙교를 2004년 12월에 가설하여 마산시의 명물이 되다. 또한 저도 전도에는 해송을 비롯하여 동백등 여러 수목이 울창하게 성장 하고 있어 산행 중 다도해 전망경과 해변 산책로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곳..

산행기,트레킹 2014.09.14

♣ 근교 산행:경북 경주시 산내면 일원 "옹강산+서담골봉+대부산" (2014.09.11:목)

♣ "옹강산(831m)" 은 영남알프스 산군에 속하지 않는 단산이면서도 영남알프스 산군의 가운데 끼여 있으며 산꾼의 발길이 전혀 닿지 않아 지금도 원시의 깨끗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옹강산은 그런만큼 산길이 험하고 군데군데 산길이 끊어지는 등 산행자를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 산행일시 : 2014. 09. 11 (목) : 추석 휴무일 (산매니아 형님하고 둘이서 산행)  ☞ 산행지 : 경북 경주시 산내면 일원 " 옹강산(831m) + 서담골봉(837m) + 대부산(837m)  "  ☞ 산행코스 : 삼원 저수지 - 삼계 계곡 - 삼계리재 - 옹강산 - BACK - 삼계리재                        - 689봉 - 서담골봉 - 조래봉/대부산 - BACK - 심원서 갈림길 - 6..

산행기,트레킹 2014.09.11

♣ 근교산 산행:경북 경주시 내남면 일원 "마석산+봉화대봉+고위산" (2014.09.10:수)

♣ "마석산(531m)" 은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명계리와 외동읍 제내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 상봉에 있는 바위가 맷돌처럼 생겨 일명 맷돌산 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마석산(磨石山)이라고 하였다. 산 곳곳에 기암괴석들이 많고 나무로 뒤덮인 정상에는 헬기 착륙장이 있다. 북서쪽으로 경주 국립공원 남산 지구가 이어지며 남쪽 산 아래로 904번 지방 도로가 지나 간다. 정상 부근의 거대한 암벽위에 새긴 높이 4.6m의 백운대 "마애불입상과 마석산 삼층석탑" 등의 유적이 있다.♣ "고위산(494m)" 은 경주 시내에서 남쪽으로 바라 보이는 산이 금오산이고 그 남쪽에 솟은 산으로 남산이란 이 두개의 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와 40 여개의 계곡을 통틀어서 말한다. 남북으로 뻗은 남산의 산줄기는 약 ..

산행기,트레킹 2014.09.10

♣ 근교 산행 종주:경남 밀양 "관음봉+문수봉+재약산+천황산+상투봉+필봉" (2014.08.30:토)

♣ "재약산(1,108m)" 은 경남 밀양시 단장면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서 높이는 해발 1,108m의 산이다. 일부 산악인들은 천황산을 사자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고 있다. 표충사를 중심으로 사방에 펼쳐진 재약 5봉은 밀양 울산 양산시의 경계를 중심으로 넓게 펼쳐진 재약산역에 속하는 5개의 봉우리를 말한다.  천황산(사자봉) , 재약산(수미봉) 향로산,필봉,재약봉(약무덤)이 바로 그것, 여기에 관음봉,문수봉,고암봉을 추가해 '재약 8봉' 이라 부르기도 한다. ♣ "천황산(1,189m)" 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 산남면 남명리에 걸쳐 있으며 산세가 부드러우면서도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어 험해 보이기도 하지만 산세는 완만하다. 얼음골, 표충사, 층..

산행기,트레킹 2014.08.30

♣ 회사 퇴근후 집 뒷산 산행:울산 북구 "매봉재+무룡산" (2014.08.28:목)

- 오늘 회사 조기 퇴근후 우리집 뒷산의 "매봉재+무룡산"을 가볍게 한바퀴 돌고 하산길에 "송정 박상진 호수공원"을 산책 하고서 그 발자취를 남겨 본다. ♣ "무룡산(450.7M)"은 춤출 무(舞) 용 룡(龍), 무룡산. 용이 춤을 추는 듯한 모양을 한 영산이자 울산의 진산이다. 낙동정맥이 남으로 내..

산행기,트레킹 2014.08.28

♣ 명산 순례 산행:경남 거창군 일원 "현성산" (2014.08.23:토)

♣ "현성산(960m)" 은 경남 거창군 위천면에 위치 하고 있으며 금원산(1,352.5m)을 모산으로 한다. 금원산 정상에서 북동으로 가지를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은 약 10km 거리인 수승대에 이르러 그 여맥을 위천(渭川)에다 모두 가라앉힌다. 이 능선상의 976m봉이 남동쪽으로 가지를 치는 암릉상의 최고봉이 바로 현성산이다. 현성산은 금원산에 딸린 부속산으로 거무성 또는 거무시로 불려온 산이다. 성스럽고 높음을 뜻한 “감”의 한문표기로 검을 현(玄) 이 되어 현성산으로 된 것이다. 곧 감뫼-검산-검무성-거무시로 되어 검다의 한문식 이름 현성산(玄城山현)이 되었음을 알수 있다.♣ "서가문 바위(=연화봉)" 은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 위치한 현성산(玄城山, 980m) 정상을 지나면 있다. 지재미골..

산행기,트레킹 201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