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알프스 9봉 완등 인증, 산행 정보 71

♣ 영남 알프스 9봉/4회次 도전(6봉):울산시 울주군 일원 "간월산 + 배내봉" (2022.02.04:금)

♣ "간월산(1,06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는 산으로 약 1540년 전에 이 산기슭에 간월사라는 사찰이 있어서 산 이름도 간월산이라 하였다 한다. 간월산이라는 이름은 근처에 잇는 신불산(神佛山)과 같이 신성한 이름이다. 1861년(철종 12)에 간행된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여지도』에는 간월산이 ‘看月山(간월산)’으로 표기되어 있고, 등억리의 사찰은 ‘澗月寺(간월사)’로 표기되는 등 간월산의 표기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 산행 일시 : 2022. 02. 04 (금)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울산시 울주군 일원 "배내봉(966m) + 간월산(1,069m)"■ 산행 코스 : 배내골 1공영 주차장 - 배내 고개 - 샘터 - 배내봉 - 톱날 능선 - 천길 바위 갈림길 ..

♣ 영남 알프스 9봉/4회次 도전(4,5봉) : 경남 밀양시 일원 "천황산/사자봉 + 재약산/수미봉" (2022.01.20:목)

♣ "재약산(1,108m)+천황산(1,189m)" 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丹場面)·산내면(山內面)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上北面)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재약산(載藥山:주봉은 수미봉 1,018m)과 맥이 이어져, 천황산을 재약산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산세가 수려하여 삼남금강(三南金剛)이라 부르며, 인근 일대의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준봉들로 이루어진 영남알프스 산군(山郡)에 속하는 산이다. 산세는 부드러운 편이나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다. 수미봉·사자봉·능동산·신불산·취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드넓은 억새평원으로서 사자..

♣ 영남 알프스 9봉/4회次 도전(2,3봉):울산시 울주군,양산시 일원 "신불산+영축산" (2022.01.18:화)

♣ "신불산(1,15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가천리와 상북면 등억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신불산(神佛山)은 신령이 불도를 닦는 산이라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일설에 불(佛)은 성읍이나 도시의 의미를 가진 말로 성스러운 성읍터의 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읍지와 군현지도 등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지명인데, 『조선지형도』(언양)에는 신불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불산은 왕뱅, 왕방이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왕봉을 말하는 곳으로 산꼭대기에 묘를 쓰면 역적이 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영취산과 이어지는 구간에는 억새평원이 있고, 왕봉 아래에는 홍류폭포(虹流瀑布)가 있다. 홍류폭포는 폭포수가 햇빛을 받으면 무지개가 서린다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 "영축산(1,081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

♣ 영남 알프스 9봉/4회次 도전(1봉):울산시 울주군 일원 "고헌서봉/고헌산+백암산/작천정 계곡" (2022.01.17:월)

♣ "고헌산(1,034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상북면 소호리와 두서면 차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언양의 진산이며 언양의 고호(古呼)가 헌양(獻陽)이라고 불릴 때에 산이 높아 부르게 된 지명이다.고헌산은 언양 사람들이 가뭄이 되면 정상의 용샘에서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었는데, 산에서 이어지는 능선들이 키가 큰 억새 군락을 이룬다. 주변에 많은 골짜기가 있는데 곰지골은 곰이 자주 나타났다고 하여 붙여졌고, 연구골은 영고사라는 큰 절이 있던 곳으로 지금은 절터만 남아있다. 도장골은 골짜기가 길을 감추고 있어 부르는 이름이다. 경주쪽의 산내면 사람들은 '고함산' 이라고도 하였는데, 나무꾼이 석이버섯을 따는 남자를 구하기 위해 고함을 지른 산이라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온다. ■ 산행 일시 : 2022. ..

♣ 영남 알프스 9봉 완등 인증샷(3차) "인증서+기념/은 주화(가지산)" 획득 (2021.07.20:화)

※ 울산시 울주군에서 시행중인 "영남 알프스 9봉(가지산,신불산,간월산,영축산,천황산,재약산,고헌산,운문산,문복산)" 3차 완등(2021.01/03 ~ 02/21) 인증샷 등재로 "인증서 & 기념 / 은 주화(가지산)" 를 획득 하다 ...... ( 2021.07.20:화/택배로 수령함 ) ▲ 3차 등정 완등 인증서 ...... ▲▼ 3차 등정 완등 첫해 "은 주화(가지산)" 획득 ....... ▲▼ "가지산/은주화" 메달의 앞,뒷면 모습 ....... ▲ 2021년도 "가지산/은주화" 획득 ...... ▲ 2021.01.03(일) / 1봉 등정 ▲ 2021.01.17(일) / 2봉 등정 ▲ 2021.01.24(일) / 3봉 등정 ..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8,9봉=완등):울산시 울주군 일원 "신불산+간월산" (2021.02.21:일)

♣ "신불산(1,15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가천리와 상북면 등억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신불산(神佛山)은 신령이 불도를 닦는 산이라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일설에 불(佛)은 성읍이나 도시의 의미를 가진 말로 성스러운 성읍터의 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읍지와 군현지도 등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지명인데, 『조선지형도』(언양)에는 신불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불산은 왕뱅, 왕방이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왕봉을 말하는 곳으로 산꼭대기에 묘를 쓰면 역적이 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영취산과 이어지는 구간에는 억새평원이 있고, 왕봉 아래에는 홍류폭포(虹流瀑布)가 있다. 홍류폭포는 폭포수가 햇빛을 받으면 무지개가 서린다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 "간월산(1,06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6,7봉):경남 밀양시,울산시 울주군 일원 "재약산+천황산" (2021.02.20:토)

♣ "재약산(1,108m)+천황산(1,189m)" 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丹場面)·산내면(山內面)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上北面)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재약산(載藥山:주봉은 수미봉 1,018m)과 맥이 이어져, 천황산을 재약산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산세가 수려하여 삼남금강(三南金剛)이라 부르며, 인근 일대의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준봉들로 이루어진 영남알프스 산군(山郡)에 속하는 산이다. 산세는 부드러운 편이나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다. 수미봉·사자봉·능동산·신불산·취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드넓은 억새평원으로서 사자..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5봉):경남 양산시 일원 "영축산+함박등" (2021.02.15:월/회사 설날 중복 휴일)

♣ "영축산(1,081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방기리와 경상남도 양산시 사이에 위치한 산으로 원래 '취서산'이라고 불렀다. 취서산은 산정상의 바위가 마치 독수리의 부리처럼 생겨 유래한 지명으로 영축산, 영취산, 축서산 등으로도 부르는데 최근에 영축산으로 통일하였다. '영취산(靈鷲山)'은 신령스런 독수리가 살고 있다는 뜻인데 우리나라 3대 사찰로 불리는 통도사가 위치하고 있다. ■ 산행 일시 : 2021. 02. 15 (월:회사 설날 중복 휴일)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경남 양산시 일원 "영축산(1,081m) + 함박등(1,052m)" ■ 산행 코스 : 지산마을 버스종점 - 축서암/사거리 - 임도 - 취서산장 - 영축/동봉 - 영축산 - 숨은재/..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4봉):경북 경주시 일원 "학대산+문복산" (2021.02.07:일)

♣ "문복산(1,014.7m)" 은 경북 청도군 운문면과 경북 경주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영남 알프스로 불리는 산 중에서 가장 낮은 산에 속한다. 영남 알프스는 경상북도 청도와 경주,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밀양과 양산 5개 시군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산으로 높은 봉우리들과 산줄기가 수려한 경관을 자아내고, 여름철의 인기 있는 관광지이자, 운문사를 비롯하여 이름 높은 사찰이 분포하고 있다. 문복산의 유래는 '옛날에 문복이라는 노인이 이 산에 들어와 평생 도를 닦고 살았다고' 하여 문복산이라 한다.  ■ 산행 일시 : 2021. 02. 07 (일)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경북 경주시 일원 "학대산(963.5m) + 문복산(1,014.7m)" ■ 산행 코스 : 삼계2교 - 전망대 - 백씨 묘 -..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3봉):울산시 울주군 일원 "고헌서봉+고헌산+소나무봉/고운산" (2021.01.24:일)

♣ "고헌산(1,034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상북면 소호리와 두서면 차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언양의 진산이며 언양의 고호(古呼)가 헌양(獻陽)이라고 불릴 때에 산이 높아 부르게 된 지명이다.고헌산은 언양 사람들이 가뭄이 되면 정상의 용샘에서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었는데, 산에서 이어지는 능선들이 키가 큰 억새 군락을 이룬다. 주변에 많은 골짜기가 있는데 곰지골은 곰이 자주 나타났다고 하여 붙여졌고, 연구골은 영고사라는 큰 절이 있던 곳으로 지금은 절터만 남아있다. 도장골은 골짜기가 길을 감추고 있어 부르는 이름이다. 경주쪽의 산내면 사람들은 '고함산' 이라고도 하였는데, 나무꾼이 석이버섯을 따는 남자를 구하기 위해 고함을 지른 산이라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온다. ■ 산행 일시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