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95

♣ 근교 산행(영남 알프스):경북 청도군,울산시 울주군 일원 "학소대 폭포+가지산+가지산 북릉/북봉,작은 북봉" (2021.04.10:토)

♣ "가지산(1,241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과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및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원래 석남산(石南山)이었으나, 1674년에 석남사(石南寺)가 중건되면서 가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 밖에 천화산(穿火山)·실혜산(實惠山)·석민산(石眠山) 등으로도 불렸다.신라 흥덕왕시대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가지산서라는 중이 와서 석남사를 지었다하여 부른 것이다. 가지산은 본래 까치산이라는 순수한 우리말 이름으로 가(迦)는 '까'의 음을 빌린 것이며, 지(智)도 '치'의 음을 빌린 것이다. 까치의 옛말은 '가치'이고, 가지산은 옛 '가치메'의 이두로 된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이 산의 다양한 이름 중에 가지산으로 통용되는 이유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

산행기,트레킹 2021.04.10

♣ 근교 산행:경북 포항시 일원 "도음산" (2021.03.28:일)

♣ "도음산(383.2m)" 은 경상북도 포항시의 흥해읍 학천리와 신광면 냉수리 및 경주시의 강동면 단구리에 걸쳐 솟아 있는 산으로 매우 높은 산은 아니지만 흥해읍·신광면·기계면과 경주시의 강동면·안강읍 지역의 평지가 한눈에 조망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흥해)에는 도음산이 고을 서쪽 5리에 있으며 진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진산은 고을을 지켜주는 산으로 가장 상징성이 높고 신성시되었는데, 흥해읍의 넓은 평야에서 서쪽으로 가장 우뚝 솟은 산이었던 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산행 일시 : 2021. 03. 28 (일) / 나홀로 산행■ 산행지 : 경북 포항시 일원 "도음산(383.2m) + 영일대 전망대(해수욕장) 탐방" ■ 산행 코스 : 도음산 산림문화수련장 주차장 - 천유정 - 유아 숲체험장..

산행기,트레킹 2021.03.28

♣ 도심속 근교 산행:경남 김해시 "만장대+분성산+수로봉" (2021.03.27:토)

♣ "분성산(382m)" 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북부동·삼안동·활천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김해시가지 북쪽의 산으로 동쪽으로 신어천, 서쪽으로 해반천이 지나간다. 원래 분산(盆山)이라고 불렀으며 과거 김해부의 진산이었다. 중턱에 분산성(사적 제66호)과 가락국 시대에 지어진 해은사 등이 남아 있으며 정상에는 김해 천문대가 있다.『세종실록지리지』(김해)에 "분산(盆山)은 부(府) 북쪽에 있다. 부(府)의 사람들이 진산으로 삼고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일찍부터 중요하게 생각한 산으로 보인다.  ■ 산행 일시 : 2021. 03. 27 (토) / 나홀로 산행■ 산행지 : 경남 김해시 "문장대/봉수대(323m) + 분성산(382m) + 수로봉(418m)" ■ 산행 코스 :  김해 동광 초등학교 주차장 - 활천고개..

산행기,트레킹 2021.03.27

♣ 고향 근교산:경남 합천군,거창군 "문재산(미녀봉)" (2021.03.21:일)

※ 오늘은 처가집 장인 어른 생신(89세) 잔치로 고향 처가댁에 갔다가 처가집 처남, 동서 형님들과 틈새로 근처에 있는 경남 합천군,거창군의 "문재산=미녀봉" 을 유유자적하게 트레킹 수준으로 다녀 오다 ..... ♣ "문재산/미녀봉(933m)" 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에 있는 산으로 ‘미녀봉’ 이라는 이름은 미녀가 머리를 길게 늘어 뜨리고 누워 있는 형상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미녀봉의 봉우리들은 여성의 형태를 뚜렷하게 보여 주고 있어 그 영향으로 산속에는 선돌, 음양석, 양물샘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산 전체에 여성성을 비롯한 자연 숭배의 사상이 스며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녀봉에는 두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에 이곳은 바다 였는데, 어느 장군이 나룻배를 탄 채 ..

산행기,트레킹 2021.03.24

♣ 근교 산행:경남 김해시 일원 "금동산+삼거리봉+석룡산" (2021.03.13:토)

♣ "석룡산(495m)" 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상동면 여차리·우계리, 생림면 사촌리에 걸쳐있는 산으로 북서쪽의 무척산, 동쪽의 금동산과 이어진다. 북쪽에서 여차천, 남쪽에서 대포천이 발원한다. 『김해지명변천사』에 의하면 석류봉이라고도 하였다. 『한국지명총람』 등에 지명은 옛날 석룡이라는 사람이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산소를 이곳에 모시고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했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조선지지자료』(김해)에 상동면 우계리에 있는 산으로 '석류산(石榴山)'이 기재되어 있으며, 『조선지형도』(김해)에는 우계리 북서쪽, 생림면과의 경계부에 석룡산(石龍山)이 묘사되어 있다.  ■ 산행 일시 : 2021. 03. 13 (토)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경남 김해시 일원 "금동산(463m) + 삼거리봉(4..

산행기,트레킹 2021.03.13

♣ 근교 산행:경남 밀양시 "만어산" (2021.03.06:토)

♣ "만어산(670.4m)" 은 경상남도 밀양시의 단장면 법흥리와 삼랑진읍 용전리에 걸쳐있는 산으로 자씨산에서 금오산으로 잇는 줄기이며, 주위에 감물저수지와 염동소류지가 있다.『여지도서』에 만어산과 관련된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가락국을 세운 수로왕 때 이 나라의 옥지라는 연못에 살던 독룡과 만어산에 살던 나찰녀(불교에서 말하는 사람 잡아 먹는 귀신)가 서로 사귀면서 번개와 우박을 내려 4년 동안 농사를 망쳤다. 수로왕이 주술로써 이들의 악행을 막고자 하였으나 여의치 못하자, 부처에게 설법을 청하여 이들에게 오계를 받게 하였다. 이때 동해의 수많은 고기와 용들이 불법에 감동을 받아 만어산으로 모여들어 돌이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지금의 만어사 앞의 어산불영이다. 이 바위는 두드리면 맑은 쇳소리를 내었다...

산행기,트레킹 2021.03.06

♣ 근교 트레킹:경북 포항시 "감사 나눔 둘레길=용산+이가리 닻 전망대" (2021.02.27:토)

♣ "감사 나눔 둘레길" 은 감사 도시 포항의 곳곳에 둘레길을 조성하여 "감사 나눔 둘레길"이라 명명했는데 총 21개의 둘레길중에 이번 코스는 용산 산행 코스에 포함되어 있으며 능선길과 계곡길을 한바퀴 도는 코스가 용산 감사나눔둘레길이다. 약 3KM 거리에 1시간 30분 정도면 충분히 돌수 있는 있는 이 나눔길은 겸재정선길이라고도 하는데 진경산수화로 유명한 겸재 정산이 청하의 현감으로 부임한 적이 있어 그렇게도 불리우고 있다고함. ♣ "용산(190.1m)" 은 월포 해수욕장 근처에 있으며 바다와 평야를 볼수있는 전망 좋은산으로 '용산'이라는 이름은 '산세가 용마가 달리는 모습같이보인다' 고 하고 용바위(작은 솥바위)와 금바위(큰솥바위)에 구덩이가 있는데 옛날 한 장수가 큰 솥바위에서 밥을 짓고 작은 솥바..

산행기,트레킹 2021.02.27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8,9봉=완등):울산시 울주군 "신불산+간월산" (2021.02.21:일)

♣ "신불산(1,15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가천리와 상북면 등억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신불산(神佛山)은 신령이 불도를 닦는 산이라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일설에 불(佛)은 성읍이나 도시의 의미를 가진 말로 성스러운 성읍터의 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읍지와 군현지도 등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지명인데, 『조선지형도』(언양)에는 신불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불산은 왕뱅, 왕방이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왕봉을 말하는 곳으로 산꼭대기에 묘를 쓰면 역적이 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영취산과 이어지는 구간에는 억새평원이 있고, 왕봉 아래에는 홍류폭포(虹流瀑布)가 있다. 홍류폭포는 폭포수가 햇빛을 받으면 무지개가 서린다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 "간월산(1,069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6,7봉):경남 밀양시 "재약산+천황산" (2021.02.20:토)

♣ "재약산(1,108m)+천황산(1,189m)" 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丹場面)·산내면(山內面)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上北面)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재약산(載藥山:주봉은 수미봉 1,018m)과 맥이 이어져, 천황산을 재약산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산세가 수려하여 삼남금강(三南金剛)이라 부르며, 인근 일대의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준봉들로 이루어진 영남알프스 산군(山郡)에 속하는 산이다. 산세는 부드러운 편이나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다. 수미봉·사자봉·능동산·신불산·취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드넓은 억새평원으로서 사자..

♣ 영남 알프스 9봉/3회次 도전(5봉):경남 양산시 "영축산+함박등" (2021.02.15:월/회사 설날 중복 휴일)

♣ "영축산(1,081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방기리와 경상남도 양산시 사이에 위치한 산으로 원래 '취서산'이라고 불렀다. 취서산은 산정상의 바위가 마치 독수리의 부리처럼 생겨 유래한 지명으로 영축산, 영취산, 축서산 등으로도 부르는데 최근에 영축산으로 통일하였다. '영취산(靈鷲山)'은 신령스런 독수리가 살고 있다는 뜻인데 우리나라 3대 사찰로 불리는 통도사가 위치하고 있다. ■ 산행 일시 : 2021. 02. 15 (월:회사 설날 중복 휴일) / 나 홀로 산행 ■ 산행지 : 경남 양산시 "영축산(1,081m) + 함박등(1,052m)" ■ 산행 코스 : 지산마을 버스종점 - 축서암/사거리 - 임도 - 취서산장 - 영축/동봉 - 영축산 - 숨은재/갈림길 - 함박등 - 함박재 - 백운암 -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