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96

♣ 테마 산행:강원도 동해시 "베틀바위 산성길/미륵바위+마천루 협곡" (2021.07.11:일)

♣ "베틀바위 산성길" 은 강원도 동해시 무릉계곡 일대에 조성되어 2020.08.01 부분 개방했다. 무릉계곡관리사무소-박달계곡 등산로 총 4.7km 가운데 무릉계곡관리사무소-두타산성 입구 2.7km 구간이다. 새로 놓인 탐방로가 베틀바위와 두타산성을 잇는 코스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베틀바위 전망대에서 눈앞에 삐죽삐죽 솟은 기암절벽이 펼쳐진다. 과연 두타산의 명성에 걸맞다. 이 풍경은 ‘한국의 장자제(张家界)’ 로 불리기도 한다. 베틀바위 모습은 이름 그대로 베틀 같다. 가을에 단풍이 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전설에 따르면 하늘나라 질서를 위반한 선녀가 벌을 받고 내려와 이곳 무릉계곡에서 삼베 세 필을 짜고 잘못을 뉘우친 뒤 승천했다고 한다. ■ 산행 일시 : 2021. 07. 11 (일) / 울산 ..

산행기,트레킹 2021.07.11

♣ 해파랑길 11코스 트레킹:경주시 권역 "나아 해변~감포항" (2021.07.10:토)

♣ ‘해파랑길’ 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둘레길의 동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750km의 걷기여행길이다. '해파랑' 이라는 명칭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파랑길' 은 부산·울산·경북·강원 4개 광역지자체와 19개 기초자치단체를 통과하며, 2016년 5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지역별로 10개 구간(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동해, 강릉, 양양·속초, 고성)에 ▷동해아침(1~4코스) ▷화랑순례(5~18코스) ▷관동팔경(19~40코스) ▷통일..

♣ 해파랑길 10코스 트레킹:울산시,경주시 권역 "정자항 ~ 나아 해변" (2021.06.29:화)

♣ ‘해파랑길’ 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둘레길의 동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750km의 걷기여행길이다. '해파랑' 이라는 명칭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파랑길' 은 부산·울산·경북·강원 4개 광역지자체와 19개 기초자치단체를 통과하며, 2016년 5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지역별로 10개 구간(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동해, 강릉, 양양·속초, 고성)에 ▷동해아침(1~4코스) ▷화랑순례(5~18코스) ▷관동팔경(19~40코스) ▷통일..

♣ 근교 테마(릿지)산행:경남 밀양시 일원 "재약산/돈릿지+문수봉+관음봉" (2021.06.27:일)

♣ "재약산(1,108m)" 은 경상남도 밀양시의 단장면 구천리에 있는 산으로 최고봉이 수미봉이다. 산세가 수려하여 '삼남금강(三南金剛)'이라 부르며, 영남 알프스 산군(山郡)에 속하는 산이다. 산세는 부드러운 편이나 인근의 천황산, 능동산, 신불산, 취서산으로 이어지는 억새풀 능선길은 억새산행의 대표적이다. 재약산의 이름은 신라의 어느 왕자가 이 산의 샘물을 마시고 고질병이 나았으므로 그 자리에 절을 세워 영정사(靈井寺)라 하였고, 약이 실린 산이라 하여 재약산으로 이름 지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 "돈(선생)릿지" 는 경남 밀양시 단장면에 위치한 "재약산" 서릉 암벽을 "울부경 걷사모" 산악회 회원인 "돈선생" 이라는 닉네임을 가진분이 지인들과 함께 개척한 10구간/로프 13개를 설치한 릿..

산행기,트레킹 2021.06.27

♣ 해파랑길 9코스 트레킹:울산시 권역 "일산 해수욕장~정자항" (2021.06.26:토)

♣ ‘해파랑길’ 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둘레길의 동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750km의 걷기여행길이다. '해파랑' 이라는 명칭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파랑길' 은 부산·울산·경북·강원 4개 광역지자체와 19개 기초자치단체를 통과하며, 2016년 5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지역별로 10개 구간(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동해, 강릉, 양양·속초, 고성)에 ▷동해아침(1~4코스) ▷화랑순례(5~18코스) ▷관동팔경(19~40코스) ▷통일..

♣ 근교 테마(릿지)산행:부산시 "금정산/함박봉+수박릿지+상계봉+파리봉" (2021.06.20:일)

♣ "상계봉(640.2m)" 은 부산광역시의 북구 화명동에 소재한 봉으로 고시 지명은 상학산이나, 지역에서는 상계봉으로 부른다. 금정산의 봉우리의 하나이다. 산 정상에서는 낙동강 물줄기는 물론 멀리 김해평야와 김해시가 한눈에 바라다 보이는 경관이 수려한 산봉우리이다. 상계봉을 이루고 있는 화강암은 기계적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성채 모양의 크고 작은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등바위·베틀굴·영감바위·할멈바위 등이 있다. 상계 지명은 이곳에 닭과 관련된 전설이 많아 유래된 것으로 전한다. 학과 모습이 닮았다고 하여 상학봉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 "파리봉(615m)" 은 부산광역시의 금정구 금성동에 소재한 봉으로 ‘파리’는 순우리말로 유리 또는 수정을 뜻한다. 수정처럼 빛나는 산정에 코끼리가 낙동강 물을 마시고..

산행기,트레킹 2021.06.20

♣ 해파랑길 3코스 트레킹:부산시,기장군 "대변항~임랑 해수욕장" (2021.06.19:토)

♣ ‘해파랑길’ 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둘레길의 동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750km의 걷기여행길이다. '해파랑' 이라는 명칭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파랑길' 은 부산·울산·경북·강원 4개 광역지자체와 19개 기초자치단체를 통과하며, 2016년 5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지역별로 10개 구간(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동해, 강릉, 양양·속초, 고성)에 ▷동해아침(1~4코스) ▷화랑순례(5~18코스) ▷관동팔경(19~40코스) ▷통일..

♣ 해파랑길 8코스 트레킹:울산시 동구 "성내 삼거리~일산 해변" (2021.06.12:토)

♣ ‘해파랑길’ 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둘레길의 동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750km의 걷기여행길이다. '해파랑' 이라는 명칭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파랑길' 은 부산·울산·경북·강원 4개 광역지자체와 19개 기초자치단체를 통과하며, 2016년 5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지역별로 10개 구간(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동해, 강릉, 양양·속초, 고성)에 ▷동해아침(1~4코스) ▷화랑순례(5~18코스) ▷관동팔경(19~40코스) ▷통일..

♣ 다시 찾은 근교 산행:경남 밀양시 일원 "구만굴+구만폭포+구만산" (2021.06.06:일)

♣ "구만산(785m)" 은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에 위치하며 육화산(675m)과 이어지는 산으로 이 산의 골짜기에는 벼락듬이, 아들바위, 상여바위, 병풍바위 등과 같은 기암이 있다. 통(桶) 같이 생긴 통수골에는 구만폭포가 있고, 폭포 양편에는 수직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구만산' 이라는 이름은 임진왜란 때 9만 명의 사람들이 피난하여 전란을 무사히 피하게 되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통수골에는 구만폭포 주위의 수직암벽의 중간 부분에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는 길이 있다. 옛날에 통장수가 이 길을 지나가다가 지게의 통이 암벽에 부딪치면서 벼랑 아래로 떨어져 죽었다. 그 후로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에는 처자식을 그리워하는 통장수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

산행기,트레킹 2021.06.06

♣ 도심속 근교 산행:울산시 울주군 "큰골 폭포+문수산+문수산 북릉" (2021.06.05:토)

♣ "문수산(600m)" 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와 범서읍 천상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신라와 고려 때 주로 ‘영축산’이라 불리던 산이다. ‘영축’은 불교를 따라 우리나라로 이동하여 온 것으로 보이며 축령들이 산에 있으므로 이름을 붙였고 조선시대에 와서는 ‘문수산’이라 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울산]에 나타난다. 문수산은 문수보살이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 산행 일시 : 2021. 06. 05 (토) / 나홀로 산행 ■ 산행지 : 울산시 울주군 "큰골 폭포 + 문수산(600m) + 문수산 북릉" ■ 산행 코스 : 천상 중학교 정문 - 포장길 - 용당수 - 천상 저수지 - 이정표(하산/합류점) - 계곡 - 큰골 폭포 - 고양이 짐바 바위 - 갈림길 - 오거리 광..

산행기,트레킹 2021.06.05